본문 바로가기

님 닫기

내 쑥쑥트리

0개
  • 쪽지
  • 내글0
  • 스크랩0
  • 내댓글0
북클럽
날따방
모임터
  • 쑥쑥몰
  • 체험이벤트
자동로그인
쑥쑥닷컴 카카오스토리 소식받기
로그아웃 PC버전
쪽지
스크랩
나를 따르라
커뮤니티
  • 유아 게시판..
  • 초등 게시판
  • 중고등 게시판
  • 수학 게시판
  • 중국어 게시판
메뉴 바로가기
  • 나를따르라 공부방
  • 북클럽
  • 칼럼
  • 선배맘 따라하기
  • 선배들의 책장
  • 해외교육정보
  • 영어 동영상 모음
  • 영어이름 찾기
  • 이벤트
  • 영어동화 교실
  • 영어유치원2 파닉스
  • 쑥쑥모바일소개
쑥쑥 플러스
  • 강의실

  • 쇼핑몰

  • 공연

검색
검색
게시판 선택
  • 전체 게시판
  • 유아 영어 게시판
  • 초등 영어 게시판
  • 중고등 교육 게시판
  • 수학 게시판
  • 중국어 게시판
제목 닉네임

네비게이션

  • 게시판
  • 북클럽
  • 쑥쑥워크시트
  • 나를따르라
  • 엄마표자료실
수학
중국어
추천/후기
칼럼
유아
초등
중고등
수학
중국어
추천/후기
칼럼
유아
초등
중고등
수학
중국어
추천/후기
칼럼
유아

네비게이션

  • 칼럼
강미선의 중등수학
  • 전체 칼럼
  • 강미선의 중등수학
  • 관심과 여유의 행복 놀이터
  • 꽁이님의 깡총깡총 토깽이
  • 령돌맘님의 play with english
  • 벨벳님의 마미행복
  • 비투스님의 사춘기 아이들과 함께
  • 세 아이와 행복나무 키우기
  • 오로라공쥬와 함께 찾는 엄마표
  • 원영사랑의 꿈가득 책장
  • 이원진의 미국교육 이야기
  • 지몽왕자님의 친구들아 중국어랑 노올자
  • 하양맘님의 제2외국어
  • 홍박샘의 초등영어
  • 희서맘의 고군분투 초등기

컨텐츠

엄마표와 아이표

  • 강미선 (upmmt)
  • |
  • 2006-10-13
2

학습은, 누군가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아이가 태어나 말을 '배우는' 것도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보고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는 데, 만약 곁에 아무도 없다면, (입이 있으니까) 소리를 낼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말'이 되지는 못할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 주변에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말하기를 배울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이 제공되었다고 볼 수 있겠죠.  아무리 똑똑한 아이라 해도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수학을 터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가우스는 말 보다 수를 먼저 깨우쳤다고 하지요...인류 역사를 통틀어 유일한 경우가 아닐지...그리고 가우스가 섬에 혼자 살았던 것도 아니고...)마찬가지로, 아이가 수학을 배울 때, 도와줄 수 있는 '교사'가 필요합니다.그래서 학교에 다니고 있는 거죠. '아이표'라고 해서 교사의 존재 자체까기 부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교사의 역할이 어느 정도 개입이 되느냐에 따라 수동적 학습으로 보여지기도 하고, 능동적 학습으로 보여지기도 하는 것이겠지요.아이가 학교를 다니고 있기 때문에, 수업(물론 수업의 형태도 다양합니다. 일방적인 설명식도 있고, 토론식도 있겠죠. 협동학습도 있고, 개별학습도 있구요. 수업이라고 해도 옛날 교실만 떠올리지는 마시길...^^;;;)을 통해 개념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학교 수업을 활용하여 학습을 하는 방법을 저는 아이표라고 생각합니다.아이표라고 해도, 자기가 더 알고 싶은 내용은 자기보다 잘 하는 동료나 어른들에게 물어보거나 책을 찾아 읽고 해결할 수 있겠지요. 이 때, 궁금증을 갖게 되는 사람은 아이라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엄마표는, (엄마 입장에서) 아이표로 진행하는 자녀를 '도와주는' 방법입니다.도와줄 때, 사안에 따라 직접적으로 도와줄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도와줄 수도 있겠지요.직접적으로 도와주는 것은 아이가 질문한 것에 대해 아이와 마주 앉아 직접 '가르치는' (공부를 아주 매우 많이 해야겠죠?) 것인데, 이것은 아이가 궁금해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도구를 엄마가 가지고 있을 때 가능한 방법입니다.  간접적으로 도와주는 것은, 아이가 궁금해하는 것을 즉각 알려줄 수는 없지만 그 해결 방법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해결 도구를 엄마가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아이보다 인생을 더 산 경험을 동원해서, 해결 도구를 제안하는 방법으로 아이를 도와주는 것입니다.    결국 제가 생각하는 엄마표에는 먼저 아이의 능동적 학습(아이표)이 전제되어 있습니다. 어제 방송에서 말씀 드린 내용은, 엄마가 배워서 아이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니까 일종의 '중재된 엄마표'인 셈이지요. (제가 생각하는 엄마표나 아이표가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그런 방법을 공개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분위기 상 너무 앞선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제가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궁극적인 방향은,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아이로 기르자는 것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학습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 그 중에서 수학을 학습한다는 것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 지에 관한 것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하겠죠.(능동적 학습과 자발적인 아이에 대해서는 저 개인적으로는 그동안 몇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바입니다. 저의 가장 중점적인 화두이니까요.)이와 관련해 보았을 때, 수학 학습은 '개념적'이어야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수학의 개념을 학습하는 것은, 수학의 본질을 탐색하는 것입니다.'본질'에 관해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과 '현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아이가 보여주는 학습 결과물을 분석하는 관점이 서로 다를 것입니다.제 경우, 아이가 100점을 받아 왔다고 할 때, 그 문제들이 어떤 문제였기에100점이었는 가에 먼저 관심을 가집니다. 또 85점을 받아왔다면, 맞은 문제와 틀린 문제를 분석해서 아이를 진단하고자 합니다.만약 아이가 놓친 그 15점이 수학의 본질적인 개념과 무관한 단순한 문제였다면 그냥 넘어갑니다.이것은 제 아이가 아니라 다른 학생들이라도 그렇습니다.하지만 아주 중요한 것이 그 15점 안에 있었다면, 이는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입니다.즉, 점수 자체가 아니라 그 문제가 어떤 성격의 문제인지를 살핀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관점을 나누고 싶습니다.수학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수학에 대해 저와 다르게 생각한다거나 교육에 대해 저와 다르게 생각하는 분들에게는,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자신들과는 전혀 상관없는 정보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기본적인 생각이 다르니까요.가치관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추천 공유
  • 댓글 2
  • 댓글쓰기
  • 답글쓰기
스크랩
  • 강미선
  • |
  • 2006-10-13 15:31
답댓글
수학에 대한 피기맘님의 관심이 다영이가 편안하고 즐겁게 공부를 할 수 있게 도와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항상 노력하시는 모습,넘 좋네요.^^ 격려의 말씀 감사합니다...
  • 글쓴이
  • 이모티콘
확인 취소

아래 아이콘을 선택해 주세요.

  • 피기맘
  • |
  • 2006-10-13 11:59
답댓글
어제 방송 잘 보았어요.^^ 녹화를 못 한것이 내내 아쉽더라구요.. 어제 방송에서 말씀해 주셨던 것들이 저에게 수학이라는 다른 영역을 아이와 함께 접근하는 방법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그리고 많이 배우게 되었구요. 감사합니다.^^
  • 글쓴이
  • 이모티콘
확인 취소

아래 아이콘을 선택해 주세요.

  • 전체댓글보기2
  • 이전글 아이를 가르치지 말아야 할 때
  • 다음글 수학을 지도하기 전에 생각해 보아야 할 것에 대하여...
목록 맨위로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카카오스토리
  • 밴드밴드
  • 네이버블로그네이버블로그
  • 페이스북페이스북
복사
  • 효과적인 수학 선행학습을 위하여...
    • 강미선
    • |
    • 2008-09-11
    9
  • 아이와 소통하기 1- 아이 생각 읽어내기
    • 강미선
    • |
    • 2008-06-10
    8
  • 수학이 고3이면 아이도 고3
    • 강미선
    • |
    • 2008-01-01
    2
  • 점점 더 공부 잘하는 아이가 되려면...
    • 강미선 (upmmt)
    • |
    • 2007-06-04
    14
  • 출세의 도구로서의 수학(?)
    • 강미선 (upmmt)
    • |
    • 2007-06-04
    4
  • 자기 삶을 여유롭게 만드는 아이들
    • 강미선 (upmmt)
    • |
    • 2007-05-28
    12
  • 중학교 수학
    • 강미선 (upmmt)
    • |
    • 2007-05-24
    5
  • 수학 경시 준비의 가치
    • 강미선 (upmmt)
    • |
    • 2007-05-24
    4
  • 목표가 높으면 성취도 높아질까?
    • 강미선 (upmmt)
    • |
    • 2007-05-24
    2
  • 어려서부터 수학을 공부했는데 왜 수능에서는...
    • 강미선 (upmmt)
    • |
    • 2007-05-24
    6
  • 수학을 길게 잘 하는 방법
    • 강미선 (upmmt)
    • |
    • 2006-12-03
    15
  • 문제 푸는 방법, 어떻게 찾을까?
    • 강미선 (upmmt)
    • |
    • 2006-11-20
    1

로그인PC버전 APP다운로드 회원문의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 고객지원 : suksukcom@gmail.com

Copyrightⓒ formebnm.co.kr. All rights reserved.

loading